가스일렉
모든 전기설비는 기본적으로 전원 라인에 누전차단기가 들어갑니다. 누전이나 과전류 발생 시 누전차단기가 전기를 차단해 주는 역할을 하므로 안전상 가장 중요한 전기설비 중 하나입니다. 요즘은 이런 누전차단기에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제품이 나오고 있습니다. IoT와 연계하여 통신이 되거나 차단기 기능에 SPD 서지보호기 기능까지 추가된 제품도 있습니다. 제닉스윈 누전차단기이번에 제닉스윈의 서지보호기 일체형 누전차단기(ELB : Earth Leakage Breaker)를 현장에 설치해 보았습니다. 누전차단기와 서지어레스터를 따로 구매하는 것보다 비용이 더 저렴하네요. 설치 공간도 줄어들고 배선도 간단해서 좋습니다. 사용해 보니 이 제품도 낙뢰가 심하게 치면 고장이 납니다. 고장 빈도가 문제가 될만한 수준은 아니..
예전부터 관심있었던 어른들의 장난감 아두이노 우노. 프로그램만 조금 할 줄 알면 저렴한 가격으로 원하는 걸 뭐든지 만들 수 있는 하드웨어. 드디어 아두이노 우노를 시작했습니다. 아두이노 우노는 디지털 입출력, 아날로그 입력, 통신 기능을 갖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보드로 제작이 되었기 때문에 조금만 공부한다면 활용방법이 무궁무진합니다. 자동제어, 장난감, DIY, 예술, 드론, IoT 등 수많은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답니다. 아두이노는 혁신전에 임베디드 하드웨어 개발 업무를 한적이 있었습니다. 그때부터 MCU와 C언어로 보드를 개발하는 것에 관심이 많고 흥미있는 분야였죠. 이직을 하면서 잊고 있었는데 우연히 아두이노를 알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제어용 보드 개발은 Orcad로 회로도를 그리고 아트웍을 해서 부..
예전의 자동제어설비는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릴레이, 타이머 등의 기본적인 부품으로 로직 구현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PLC가 기본이죠. 시퀀스로만 이루어진 회로를 하드 와어어드, PLC 기반의 로직을 소프트 와이어드라고도 합니다. 그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하드 와이어드 로직 (Hard wired logic)시퀀스 회로를 릴레이, 부품간의 배선에 따라 로직을 구성하는 방식1) 제작시간이 많이 걸림, 장치의 크기가 크다.- 모든 로직을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 부품과 배선으로만 구성을 해야 하기 때문에 배선작업이 많고 장치의 크기가 커집니다2) 프로그램 변경시 배선변경 작업이 복잡하다.- 배선 및 회로를 파악 어려움 3) 제작시 현장에서 연결하기 전까지 동작을 확신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