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일렉
예전의 자동제어설비는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릴레이, 타이머 등의 기본적인 부품으로 로직 구현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PLC가 기본이죠. 시퀀스로만 이루어진 회로를 하드 와어어드, PLC 기반의 로직을 소프트 와이어드라고도 합니다. 그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하드 와이어드 로직 (Hard wired logic)시퀀스 회로를 릴레이, 부품간의 배선에 따라 로직을 구성하는 방식1) 제작시간이 많이 걸림, 장치의 크기가 크다.- 모든 로직을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 부품과 배선으로만 구성을 해야 하기 때문에 배선작업이 많고 장치의 크기가 커집니다2) 프로그램 변경시 배선변경 작업이 복잡하다.- 배선 및 회로를 파악 어려움 3) 제작시 현장에서 연결하기 전까지 동작을 확신할 수 ..
바야흐로 4차 산업혁명 시대입니다. 이제 사람이 직접 측정하러 현장을 돌아다니는 시대가 지나간거 같습니다. 하지만 막상 자동화를 하려고 하면 개발비용, 설치비용, 고장이나 부품 교체 등 유지보수 비용 등 그에 따른 제약과 문제점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도입은 아주 신중히 고민해봐야 됩니다. 저는 무선통신을 활용해서 원격으로 계측값을 측정하고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설비에 계측기와 무선전송장치를 달고 단말기를 통해 근처를 지나가면 자동으로 측정값(전압)이 읽어지는 것이죠. 1. 통신방식 선정 기준수많은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떤 것으로 할지 정해야 됩니다. Lora, 블루투스, 지그비, RFID, NFC, IR방식, RF 방식 등 여러 통신 방식중에 제가 구상한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통신방식을 ..
가스관련 업종에 종사하시는 분이라면 웨버지수라고 들어보셨을거에요. 막상 이게 뭔지 설명하려면 말문이 턱 막히죠. 웨버지수는 자격증 시험문제에서도 단골손님입니다. 웨버지수의 개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웨버지수 Webbe Index웨버지수는 가스의 발열량에 비중의 루트값으로 나눈 값입니다. 웨버지수는 가스의 연소성, 가스의 호환성을 판단하는 지수로 사용합니다. WI : 웨버지수H : 단위체적당 발열량 (kcal/Nm3)S: 가스의 비중 웨버지수 활용부탄가스, LPG, 도시가스 등 다양한 가스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스렌지에 이런 연료를 아무거나 사용해도 될까요? 결론은 안됩니다. 모든 가스기구는 연료의 특성에 맞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연료를 사용해도 호환이 가능한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런..